반응형
출처 흥국 텔레그램
[흥국 디스플레이/IT 이의진] - 3/3(금)
HB솔루션-탐방노트: 증가하는 잉크젯 컨텐츠
■ 개요
- 사업부는 크게 1) 디스플레이 전공정, 2) 디스플레이 후공정, 3) 잉크젯 장비, 4) 반도체 계측으로 구성
- 2020년 전반적인 디스플레이 산업의 투자감소로 매출액 211억원(-55% YoY), 영업이익 -18억원(적자전환 YoY)하며 부진한 실적을 기록함. 반면 2022년에는 매출액 1,876억원(+301% YoY), 영업이익 271억원(+3,962% YoY, OPM 14.5%)을 기록
1) 북미세트사의 스마트폰에 홀 디스플레이가 적용되며 ELB 장비 매출이 약 1,400억원 발생
2) 대면적 8K QD 컬러필터에 대응 가능한 145억원 규모의 잉크젯 장비 1대를 SDC향(Q1)으로 납품
■ 투자요인
1. QD C/F 잉크젯 장비: 프리미엄 TV 시장 확대될 경우 Q2(30K/월 Capa, 8K 대응) 증설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
2. ELB 장비의 추가 수요 발생: 북미 세트사의 스마트폰 및 IT향 신규 수요 예상
3. 8.6세대 투자: 전공정 장비 수요로 실적 확대 예상됨
보고서: https://bit.ly/41EF5GM
흥국 디스플레이/IT: https://t.me/ujlee_tech
흥국증권 디스플레이/IT 담당 이의진(02-739-5932)
● 본 보고서는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반응형
'투자 > 투자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트렉스 (118990) - 선명해진 실적과 신사업 모멘텀 (한화투자 리포트) (0) | 2023.03.03 |
---|---|
글로벌텍스프리 (204620) - 글로벌 리오프닝 최대 수혜 (한화투자 리포트) (0) | 2023.03.03 |
선박 가격 14년만에 최고.. 올해 턴어라운드 가능성도(헤럴드경제) (0) | 2023.03.02 |
덴티움 - 여전히 저평가 상태로 판단 (NH투자 리포트) (0) | 2023.03.02 |
배터리 핵심 4대 소재 시장, 2030년 192조원 규모로 성장 (0) | 2023.03.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