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APB-A12

에이프릴바이오 APB-A1 임상 1상 결과 23년 3분기 발표 APB-A1 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후보물질로 에이프릴바이오가 룬드벡에 5~6천억원대로 기술수출한 물질입니다. 룬드벡에서도 기대가 큰 물질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계약금 및 마일스톤과는 별도로 룬드벡은 에이프릴바이오에 APB-A1 관련 순매출의 최대 두 자릿수 비율에 달하는 높은 로열티를 단계별로 지불하기로 계약했으며, 기술이전 이후 프로젝트와 관련된 모든 개발 활동 및 비용 일체를 룬드벡이 맡기로 한 바 있습니다. (출처 히트뉴스) 올해 결과가 나오면 에이프릴바이오의 플랫폼 기술*이 인정받는 계기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 동사는 지속형 단백질 플랫폼과 항체 제작 플랫폼을 동시에 보유 A1의 임상 결과가 잘 나오면 현재 기술수출을 준비하고 있는 또 다른 물질인 APB-R3의 기대감이 더욱 커질.. 2023. 2. 8.
에이프릴바이오 CD40L 표적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후보물질과 SAFA 플랫폼의 가치 상승 기대 동사의 주요 후보물질인 APB-A1은 덴마크의 글로벌 제약회사 룬드벡에 5400억원에 달하는 큰 규모로 기술이전 된 바 있습니다. 23년 6월 경에 임상 종료 예정이라고 하니, 이에 따른 기대감과 주가 모멘텀을 받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현재는 거래량이 없고 소외된 상태로 볼 수 있습니다. K투자증권은 27일 에이프릴바이오에 대해 ‘CD40L’ 표적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후보물질과 ‘SAFA’ 플랫폼의 가치 상승을 기대했다.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에이프릴바이오는 회사의 주요 후보물질인 ‘APB-A1’를 2021년 10월 5400억원 규모로 룬드벡에 기술이전했다. 룬드벡의 주도로 임상 1상을 진행하고 있다. 오는 6월 종료 예정이다. APB-A1는 ‘CD40L’ 억제제다. CD40L은 T.. 2023. 1.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