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ㅇ 단결정 양극재는 니켈 코발트 등 여러 금속 소재를 하나로 뭉쳐서 제조하는 것
ㅇ 내구성이 높고, 가스 발생량이 줄어들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는 장점 이 있음
ㅇ 현재 적용되고 있는 배터리 양극재는 다결정으로 충전 방전이 반복될 수록 틈이 커지고, 배터리 수명 감소
ㅇ 단결정은 입자가 부서지지 않아 해당 문제 해결 가능
ㅇ 다만 추가 공정이 발생하고, 작동 전압이 높아 배터리 온도가 상승 가능
ㅇ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력이 관련 업체의 경쟁력일 듯
ㅇ 한편, 하이니켈 대비 니켈과 코발트의 함량도 같이 낮춘 미드니켈 양극재의 가능성도 검토 중
"전기차를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반드시 단결정 양극재가 필수적"
- 정명기 LG화학 단입자양극재개발팀장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19663
전기차 화재 줄일 핵심소재 '단결정', LG화학 올해 첫 상용화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LG화학이 올해 단결정 양극재를 상용화한다. 니켈 함량을 낮춰 전기차 화재 가능성을 낮추는 시도도 병행된다.양극재는 배터리 원가의 약 40%를 차지하는 핵심소재다. 그간 에너지 밀도를 높이기
www.thelec.kr
반응형
'투자 > 투자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화솔루션 24년 목표 시가총액 20조원.. 적극매수 의견 - IBK (0) | 2023.02.02 |
---|---|
에스티큐브, 넬마스토바트 임상 1상 성공 발표와 개인적인 생각 (0) | 2023.02.02 |
LG화학 22년 4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 Q&A (0) | 2023.01.31 |
Chat GPT 관련주 이수페타시스 현저한 저평가(매일경제) (0) | 2023.01.30 |
에이프릴바이오 CD40L 표적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후보물질과 SAFA 플랫폼의 가치 상승 기대 (0) | 2023.0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