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IV리서치 텔레그램
[IV Research]
파멥신(208340)-‘23년 저평가 해소 전망
기업개요
동사는 자체적으로 구축한 1,000억개 이상의 완전 인간항체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항체치료제를 개발하는 신약개발 기업이다. MSD, Sanofi, Roche, NIH(미국 국립보건원) 등과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주요 파이프라인은 ① VEGFR2 타겟 항체치료제 올린베시맙, ② TIE2 수용체 활성화 항체치료제 PMC-403, ③ 신규 타겟 면역항암제 파이프라인 PMC-309 등이다.
주요 파이프라인
① 올린베시맙은 VEGFR2 타겟 항체치료제로 mTNBC(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 환자 대상 키트루다 병용 글로벌 임상2상을 진행 중이다. 종양 신생혈관성장인자 수용체 VEGFR2를 표적하여 종양이 새로운 혈관을 만들어내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종양의 성장과 전이를 억제하는 기전이다. 올린베시맙은 임상1b상에서 올린베시맙 고용량 환자군의 ORR 50%, DCR 67%를 확인했는데, 이는 키트루다 단독 ORR 9% 대비 높은 수치이다. '21년 9월 mTNBC 적응증으로 호주 임상2상 승인을 받아 ‘21년 12월 첫 환자 투여를 시작으로 임상을 진행 중이다.
② PMC-403은 혈관내피세포에 있는 TIE2 수용체 활성화 항체로, 질병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발달한 신생 혈관을 정상 혈관으로 회복시키는 효과를 낸다. 전임상 연구를 통해 <아일리아>와 유사한 수준의 혈액 누수 억제 효능과 더 높은 수준의 시신경 반응도 개선을 확인해 ‘21년 ARVO(시과학안과학회)에서 발표했다. nAMD(신생혈관성 황반변성) 환자 대상 국내 임상1상을 신청한 상황으로, 2Q23 식약처 승인을 기대한다. TIE2 수용체를 타겟하는 물질 중 임상에 진입하는 첫 번째 항체이기 때문에 임상1상을 통해 안전성만 확인된다면 글로벌 업체와 초기 단계에서의 Partnership 체결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혈관정상화 기전이기 때문에 안질환 외에도 향후 호흡기 증후군, 신장질환 등 다양한 혈관성 질환으로 적응증 확장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PMC-403은 지난 2월 SCLS에 대한 미국 FDA로부터 ODD(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아 안질환 외에도 전신투여 혈관질환에 대한 임상도 빠르게 진입이 가능할 전망이다.
③ PMC-309는 신규 타겟 면역항암제 파이프라인으로 면역관문인 VISTA를 타겟한다. T세포를 억제하는 MDSC(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s, 골수유래 억제세포) 표면에 과발현된 VISTA에 PMC-309를 결합해 MDSC의 기능을 억제하고 T세포를 간접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기전이다. 동사는 ‘22년 AACR에서는 기존 면역항암제인 PD-1/L1, CTLA-4 계열과 같이 후천면역(T세포 활성화)뿐 아니라 선천면역(단핵구 활성화)에도 관여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또한 PD-1 계열 약물과 병용 투여 시 종양성장 억제 능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기존 면역항암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내성이 생긴 환자들에게 치료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동사는 ‘22년 MSD와 임상1상에 대한 CTCSA(공동임상 개발 계약)를 체결해 임상 진입을 준비 중이다. 2Q23 임상1상 HREC(호주 인체 연구 윤리위원회) 신청, 3Q23 첫 환자 투약을 목표로 한다.
https://t.me/IVResearch
https://blog.naver.com/ivresearch/223050871621
'투자 > 투자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서브마린 - 모든 해저케이블은 서브마린으로 통한다 (키움) (0) | 2023.03.21 |
---|---|
엘앤에프, LFP 양극재로 보급형 배터리 공략 (0) | 2023.03.21 |
에코프로비엠, 5000억대 투자유치 추진 (0) | 2023.03.21 |
한화솔루션, 미국 전고체 배터리 소재 기업 지분 9.73% 확보 (0) | 2023.03.21 |
전기차 주행거리 10배 늘리는 실리콘 음극 활물질 개발 - 포항공대, 서강대 (0) | 2023.03.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