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네이버 에코프로 종목토론방의 1966***님이 쓰신 분석글을 토대로
근거 데이터를 찾아 첨부하는 형식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미래를 전망하는 내용이므로, 불가피하게 수치 적용 시 필자의 "가정"이 다소 들어가 있습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각자의 생각에 따라 이러한 가정을 조금씩 수정하여 적용해 본다면
투자판단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에코프로는 다수의 자회사들과 2차 전지 밸류체인에 관련된 사업을 다양하게 영위하고 있습니다.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은 그런 자회사들 중 하나로, 수산화리튬을 생산하는 사업을 담당합니다.
수산화리튬은 중국보다는 우리나라에서 잘 만드는 하이니켈 3원계 배터리(NCM, 니켈 코발트 망간) 제조에 사용되는 주 원재료입니다. 중국은 LFP 계열 배터리에 강점이 있습니다. 배터리 종류에 따른 특성에 대해서는 본 포스팅에서는 생략하겠습니다.
수산화리튬은 탄산리튬을 가공하여 만드는데,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은 미국 아이오니어 등으로부터 탄산리튬 장기공급계약 등을 완료하여 안정적으로 탄산리튬을 조달하고 있습니다.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22775
에코프로이노베이션, 美 리튬 업체와 공급 계약
[더구루=오소영 기자]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이 미국 아이오니어(ioneer Ltd)로부터 탄산리튬을 수급한다.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수산화리튬으로 전환해 전기차 보급과 맞물려 커지는 시장을 선점한
www.theguru.co.kr
미래 실적을 추정하기 위해 먼저 미래 수산화리튬의 가격을 가정해 봅시다. 현재 수산화리튬의 가격은 22년 12월 15일 기준으로 1톤에 1억 1천만원 정도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등으로 인해 24년에는 더 오를 수 있겠지만, 리튬 공급이 안정화된다고 보수적으로 가정하여 1톤에 1억원을 가정하겠습니다.
그리고 여담이지만 중국 내 탄산리튬 가격은 하락 추세를 보이는 반면 수산화리튬은 우상향 추세라고 하니, 탄산리튬을 원재료로 하는 에코프로이노베이션에는 긍정적인 기사겠네요.
파이낸셜뉴스] 최근 배터리 핵심 광물인 리튬 가격이 중국 내 공업용 탄산리튬 중심으로 하락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실제 배터리에 사용되는 수산화리튬 가격은 우상향 추세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9일 전 세계적으로 공신력이 입증된 영국 금속 가격 조사기관인 패스트마켓츠(Fastmarkets)에 따르면 지난 15일 기준 수산화리튬 가격은 1kg당 85달러(약 11만1000원)로 지난 10월 27일 1kg당 82달러를 기록한 후 꾸준히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 기간 실제 배터리에 들어가는 수산화리튬 가격은 우상향으로 한 번도 하락하지 않고 움직인 것이다.
https://www.fnnews.com/news/202212190757008869
치솟던 리튬 가격 하락세(?)...K배터리 핵심 수산화리튬은 우상향
[파이낸셜뉴스] 최근 배터리 핵심 광물인 리튬 가격이 중국 내 공업용 탄산리튬 중심으로 하락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실제 배터리에 사용되는 수산화리튬 가격은 우상향 추세를 지속하고 있는
www.fnnews.com
가격을 가정했으니, 이제 판매량을 가정해 보겠습니다.
에코프로 22년 3분기 실적발표 IR자료에 따르면 현재 제1공장 1만3천톤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고, 24년엔 추가로 1만 3천톤 양산이 가능합니다.
24년이 되면 총 2만 6천톤의 수산화리튬을 생산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리튬 수요가 2030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는 한국무역협회 리포트 내용을 참고하여 (아래 기사 참고)
24년에는 생산한 리튬을 모두 판매할 수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배터리용 리튬 수요는 빠르게 늘어 2024년 93만8000톤, 2026년 129만톤, 2028년 172만5000톤, 2030년 218만1000톤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http://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idxno=469735
리튬값, 3개월 연속 최고가 경신···전기차 배터리 수요급증 영향 - 서울파이낸스
[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배터리 제조사들의 리튬 확보 경쟁으로 탄산리튬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으며 연일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다.18일 한국자원정보서비스에 따르면 중국산 탄산리
www.seoulfn.com
따라서 24년도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의 매출은 1억/1톤 x 2만 6천톤 = 2조 6천억원으로 계산이 됩니다.
영업이익률을 얼마 정도로 가정하면 좋을까요?
에코프로 22년 3분기 실적발표 IR자료에서는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이 영업이익률을 38%까지 끌어올린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여기서는 기술개발을 통해 수산화리튬의 생산 효율을 끌어올린 것으로 보고, 영업이익률 38%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그렇게 영업이익률을 계산하면 2조6천억원 x 38% = 9,880억원 ..
즉, 위 가정들이 모두 맞다면 약 1조원에 이르는 영업이익을 달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은 에코프로가 지분 96.7%를 보유한 자회사이므로
또한 비상장이므로 편의상 현재 기준 지주사 할인은 적용하지 않겠습니다.
1조에 보수적으로 24년 PER 6을 적용한다면 적정 시총은 6조가 될 것이고
24년 PER 12를 적용한다면 적정 시총은 12조가 될 것입니다.
(사실 주가-영업이익비율 POR 인데 익숙한 개념인 PER로 썼습니다.)
이 글을 작성하는 23.01.17 현재 시총 2.9조 정도이므로 업사이드는 100%~300% 정도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이것은 오직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의 실적을 가지고 구한 목표 시총으로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에코프로CNG 등 많은 자회사들의 가치를 합치게 된다면 미래 가치는 굉장히 고무적인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주식투자를 해보면 예측이 빗나가고, 악재도 발생하고, 일정도 밀리는 등 많은 난관이 있게 됩니다.
하지만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의 미래 가치와 에코프로비엠등 다른 자회사들의 미래 가치들을 생각해 보았을 때, 에코프로를 3년 정도 보유하면 그래도 100%의 수익률은 가져다주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생각해 봅니다.
위 글은 22년 3분기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의 영업이익률을 기준으로 작성한 것인데
22년 4분기 영업이익률은 46%로 늘어 더 긍정적으로 볼 수 있을 듯 합니다.
영업이익률 관련은 아래 포스팅에 업데이트 해 두었습니다.
2023.02.03 - [투자] -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의 놀라운 영업이익률 - 22년 4분기 실적발표 자료
'투자 > 투자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코프로 그룹의 수직계열화 구조를 알아보자 (0) | 2023.02.12 |
---|---|
물적분할과 인적분할의 차이점과 인적분할의 문제점 알아보기 (머니S) (0) | 2023.01.29 |
고성능 배터리 양산 거짓 홍보 업체.. 인동첨단소재인가? (0) | 2023.01.16 |
실리콘 음극재 기술 발전에도 양극재 업체를 계속 주목해야하는 이유 (0) | 2023.01.13 |
LG화학 생명과학부문 매출 1조 전망.. 사업 가치 비교분석 (0) | 2023.0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