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투자정보

피엔티 - 올해는 실적 대장 (미래에셋)

인터루드+ 2023. 2. 25. 13:42
반응형

출처 미래에셋텔레그램



[미래에셋증권 배터리 장비 박준서]

피엔티(매수/Maintain)

올해는 실적 대장

4Q22 Review


마진 개선 지속. 일시적인 비용 반영에 따른 NP 감소

- 4Q22 연결 매출액 893억(-2.5% YoY), 영업이익 250억원(+18.5 YoY), OPM 28%

- 일시적인 비용 반영에 따른 NPM은 5.3% 기록. 외화환산차손 약 150억원 (vs. 3Q22 외환환산차익 104억원)과 명성티엔에스의 감가상각 비용 반영이 주 요인

- 4Q22 별도 기준 매출액 1,200억원 수준이며 2차전지 부문 매출액은 900억원(+35% YoY), 소재 사업부문은 300억원(-44% YoY) 예상. 3Q22부터 빨라지는 매출 인식 기조

- 일시적 비용 제외 시 마진은 지속적으로 개선. 동사의 대형 프로젝트 기반 커스터마이징 코터와 롤 프레스 등 매출 인식 본격화. 개별 OPM은 21% (vs. 3Q 18%, 2Q 20%)

- 23년 매출액 6,883억원(+65% YoY), 영업이익 1,141억원(+47% YoY) 전망

투자포인트


현재 수주 2조원 근접. 이제는 실적으로 보여준다

- 수주잔고의 성장은 지속: 3Q22 말부터 공시된 신규 수주액만 4,316억원<표1 참고>. 동사의 미 공시된 계약들을 포함 시 현재 수주잔고는 2조원 수준으로 전망됨

- 본격적인 수주 물량 소화 구간에 진입: 신 공장 4개 동 중 2개 동이 12월부터 가동 중. 현재 매출액 기준 Capa는 8,000억원 추정(기존 최대 6,000억원 + 2개 동 2,000억원)

- 현재 동사의 매출 인식 리드타임은 2년으로 파악되며 21년 신규 수주액 8,621억원의 매출액으로 전환과 22년 3월에 기 공시된 2,455억원의 부분적인 매출 인식 전망

본격적인 발주 사이클


목표 주가 76,500원 및 매수 의견 유지

- 비중 확대가 필요한 시기라고 판단. 23년 매출 성장과 수주잔고가 동반 성장 구간 돌입. 동사의 12MF 평균 P/E는 14배이나 현재 주가는 9배로 저평가 구간. 글로벌
배터리 장비 23년 평균 P/E 대비 -46% 수준



보고서: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30224132216870_155

반응형